본문 바로가기

문화사회학5

[서교연 포럼] 사회적 재난재해・고통・외상의 문화적 구성: ‘문화적 외상’의 정치학과 재현 폭력 비판 재난재해 참사는 그것의 실체성 만큼이나 문화적∙감정적∙도덕적 사건이다. 재난 참사에 의한 고통은 사회적 재현의 과정을 통해 비로소 ‘외상(trauma)’이 된다. 따라서 피해자∙희생자∙생존자∙유족이 겪는 사건과 고통은 단지 이들 당사자 개인의 주관적∙정신적∙생리학적∙자연적 ‘사고’로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집단기억과 사회적 인정 속에서 ‘외상’으로서 재현되고 체험되는 사회적 사건이자 사회적 고통이다. 외상을 문화적인 재현 퍼포먼스의 구성물로 볼 때, 치유와 회복은 재난 참사에 대한 정당한 사회적 인정과 판단(진상규명 등)과 분리될 수 없는 실천적 과정이 된다. 이 발제는 외상과 참사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실천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지를, 제프리 알렉산더 등의 ‘문화적 외상 이론’의 관점에서 해설한다..
<당신들의 신국>, 복음주의(지성)은 근본주의의 인큐베이터? : 보수 개신교 지식 담론의 생산과 문화구조 서문: 보수 기독교와 우파 정치의 결합 _양권석 1부 ‘한국적 기독교’의 탄생 ‘웰빙 우파’와 대형 교회: 문화적 선진화 현상으로서 후발 대형 교회 읽기 _김진호 이단 또는 한국적 기독교: 통일교, 전도관, 용문산기도원의 종교 운동 _김흥수 한국 교회의 참을 수 없이 ‘한국적인 것’들의 목록: 해외선교 동원 담론을 통해서 본 한국 교회의 정체성 정치 _박설희 그들이 교회로 간 까닭은?: 박정희 정권기 한국 복지 체제 형성 과정에서 도시 교회의 역할과 기능 _정용택 복음주의 지성은 근본주의의 인큐베이터인가?: 보수 개신교 지식 담론의 생산과 문화 구조 _김현준 2부 한국 교회의 타자 만들기 포스트-오이디푸스 시대 한국 교회의 아버지 담론과 신보수주의: 최근 한국 기독교의 아버지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_..
문화예술사회학 https://techno-science.tistory.com/29 문화예술사회학 입문 (PPT) *돌곶이센터 및 경남대 강의안 이론: 부르디외, 단토, 디키, 베커, 빅토리아 알렉산더, 문화산업론(프랑크푸르트학파), 베블렌, 보드리야르, 랑시에르를 중심으로 사례: 넷플릭스, 미술관(삼성리 techno-science.tistory.com
문화사회학이론의 분석적 쟁점연구: 제프리 알렉산더의 강한 프로그램의 구조적 해석학과 공연 모델의 연계를 중심으로 2022, 사회이론 62 구조적 해석학은 행위를 텍스트로 전환함으로써 행위가 사회적 공연으로서 이해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 논문은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의 강한 프로그램(문화적・텍스트적 전환) 및 문화화용론(공연적 전환)의 연속성을 관통하는 핵심에 구조적 해석학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구조적 해석학이 행위를 텍스트로 간주하고 문화를 행위의 대본으로 구성함으로써 행위를 공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공연적 전환(사회적 공연 모델 및 문화화용론)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었음을 논증한다. 강한 프로그램은 의미있는 행위를 텍스트로 간주하는 해석 학적 자원을 통해서 행위가 공적인 것이 되도록 만든 것이다. 따라서 문화사회학적 이해란 구조적 해석학을 통해 문화구조를 행위의 공적인 텍스트로서 구성하고 해석해..
'성스러움의 과학':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개념들과 방법론 고찰 2021,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9(2) 이 논문은 부르디외의 종교사회학을 상징폭력과 상징재화 교환경제의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문화・지식・권력사회학으로서의 의의를 해명한다. 그리고 부르디외의 주요 개념들의 종교연구방법론적 함의를 설명함으로써 각종 이항대립을 해소하는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유용성을 개관한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사례를 통해 부르디외의 이론적 개념들을 재서술함으로써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증대된다.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은 현대 종교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강력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부르디외는 “문화사회학이 오늘날의 종교사회학”이라고 말하고 이를 ‘성스러운 것에 대한 과학(science of the sacred)’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