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사회학8

개신교 우파 분석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십자가를 흔드는 그리스도인>, 7장 복음주의는 반지성주의적 영성을 가졌는가: 호프스태터의 <미국의 반지성주의>와 한국 보수-극우개신교의 공통된 세계관 머리말 _송인규 01 보수 개신교인의 내면세계 _정재영 02 보수 개신교인의 정치의식 _정재영 03 공공신학과 교회의 정치 _최경환 04 극우적 사고: 정체, 형성 및 복음주의적 평가 _송인규 05 신학적 근본주의에서 정치적 극단주의로 _배덕만 06 광장의 교회, 당혹스럽고 익숙한 _김지방 07 복음주의는 반지성주의적 영성을 가졌는가 _김현준 부록: 보수 개신교인 집단 면접 조사 질문지/설문 조사 문항
<한국 현대사와 개신교>, 8강 극우 개신교의 역사적 진화와 논리 여는 글: 성조기 휘날리며 _ 한홍구 제1강: 우승열패의 신화에 빠진 기독교 민족주의 _ 강성호 제2강: 남북분단, 전쟁 전후의 한국교회 _ 김흥수 제3강: 한국 개신교와 국가폭력 ?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을 중심으로 _ 최태육 제4강: 한국 개신교와 반공주의 _ 강인철 제5강: 한국 개신교와 군사정권 _ 강인철 제6강: 미국은 한국 개신교에게 무엇이었는가 _ 강성호 제8강: 극우 개신교의 역사적 진화와 논리 _ 김현준 닫는 글: 한국 개신교의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_ 이만열 더하는 글 1: 기독교 민주화운동의 전개 과정과 위상 ? 청년 ? 학생을 중심으로 _ 이종구 더하는 글 2: 최태민 사태를 통해서 본 한국 기독교 문제 _ 권진관
<당신들의 신국>, 복음주의(지성)은 근본주의의 인큐베이터? : 보수 개신교 지식 담론의 생산과 문화구조 서문: 보수 기독교와 우파 정치의 결합 _양권석 1부 ‘한국적 기독교’의 탄생 ‘웰빙 우파’와 대형 교회: 문화적 선진화 현상으로서 후발 대형 교회 읽기 _김진호 이단 또는 한국적 기독교: 통일교, 전도관, 용문산기도원의 종교 운동 _김흥수 한국 교회의 참을 수 없이 ‘한국적인 것’들의 목록: 해외선교 동원 담론을 통해서 본 한국 교회의 정체성 정치 _박설희 그들이 교회로 간 까닭은?: 박정희 정권기 한국 복지 체제 형성 과정에서 도시 교회의 역할과 기능 _정용택 복음주의 지성은 근본주의의 인큐베이터인가?: 보수 개신교 지식 담론의 생산과 문화 구조 _김현준 2부 한국 교회의 타자 만들기 포스트-오이디푸스 시대 한국 교회의 아버지 담론과 신보수주의: 최근 한국 기독교의 아버지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_..
'성스러움의 과학':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개념들과 방법론 고찰 2021,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9(2) 이 논문은 부르디외의 종교사회학을 상징폭력과 상징재화 교환경제의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문화・지식・권력사회학으로서의 의의를 해명한다. 그리고 부르디외의 주요 개념들의 종교연구방법론적 함의를 설명함으로써 각종 이항대립을 해소하는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유용성을 개관한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사례를 통해 부르디외의 이론적 개념들을 재서술함으로써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증대된다.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은 현대 종교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강력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부르디외는 “문화사회학이 오늘날의 종교사회학”이라고 말하고 이를 ‘성스러운 것에 대한 과학(science of the sacred)’이라..
개신교 우익청년대중운동의 형성: 극우정치에서 개신교의 효용과 문화 구조 2017, 문화/과학 91호 「개신교 우익청년대중운동의 형성: 극우정치에서 개신교의 효용과 문화 구조」는 오늘날 우익 대중운동의 저변 확장에 큰 몫을 하고 있는 개 신교 청년대중에 시선을 맞춘다. 그동안 개신교의 정치화에 대해서는 교세 감소나 사회적 신뢰 감소라는 위기에 대한 대응이라는 해석이 많았지만, 이 글은 우익대중의 행동주의를 이해하려면 그 이상으로 이해를 심화해야 한다고 주 장한다. 위기의식을 대중의 ‘사회적 상상’이나 박탈감, 혐오와 같은 정서로 변형 시키고 내재화하는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그 계기로 반동성애 담론과 종북척결 담론을 꼽고 있다. 동성애와 종북을 현재의 국가적ᆞ사회적ᆞ종교문화적 위기를 초래하는 적으로 규정하는 문화전쟁 프레임이야말로 이들을 반지성주의적 행동주의..
'교회 밖' 신앙모임의 종교적 기능: 한국 개신교 포스트-복음주의의 탄생과 성격에 관한 시론 2017, 현상과인식 이 논문은 ‘소속없는 신앙’에 대한 복음주의 개신교의 대응 사례를 통해 ‘포스트-복음주의’라고 명명된 새로운 복음주의자들의 전략과 성격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탈교회적’인 ‘포스트-복음주의’가 주류 복음주의에 비해 혁신적 측면이 있음을 밝힌다. 이를 위해 기성 복음주의 제도교회로부터 벗어난 신앙 모임의 성격을 하나의 예시로 제시한다. 이 새로운 복음주의 운동 세대는 최근(2000년대)에 발생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운동이며, 기존의 승자들(주류 개신교 및 대형교회)의 성공문법을 답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규모도 작고 체계도 불분명하지만, 더 유연하고 창조적이며 혁신적이라는 점에서 ‘스타트-업’ 운동으로 볼 수 있다. 교회 밖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이러한 포스트-복음주의는 기존의 ..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 피에르 부르디외 사회이론의 종교사회학적 함의(M.A) 이 논문은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을 종교, 특히 한국 개신교 분석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에 대한 부르디외 사회이론의 설명력과 주요 개념들의 활용성을 가늠해 보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다. 먼저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을 정리하고, 개신교장이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기물들(stakes)과 유희(play)를 할 준비가 된 사람들, 즉 유희의 내재적 법칙들과 내기물들에 대한 지식, 그리고 내기물들이 지닌 사회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 아비투스의 보유자들인 주요 행위자들(신자)을 살펴 본 후에, 개신교장의 거시적 구조를 개괄한다. 그 다음으로 종교아비투스 개념에 개신교인의 종교성을 대입해 봄으로써 복음주의적이고 기복주의적인 성향을 재생산하는 개신교의 공리주의적인 아비투스를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개신교장의 내기물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