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소개 과학기술의 발전은 현대인에게 더 이상의 신화를 허락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모두가 계몽된 과학기술의 세계는 허상이었는지 모른다.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으로 상징되는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탈진실과 기술지배를 물질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구축하면서 기술합리성과 기술중립론을 보다 세련된 방식으로 심화시키고 있다.
이 강좌는 인공지능을 위시한 최첨단 과학기술과 그에 조응하는 모더니티 합리성의 기술신화를 비판이론(들)로 조명하고 해설한다. 기존의 과학기술학과 비판이론, 매체이론, 사회이론 간의 비판적인 대화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이론(들)을 재평가하고, 보다 나은 비판적 과학기술학과 인공지능의 사회학을 모색하며, 나아가 오늘날 기술문명과 지능정보사회, 기술레짐과 기술신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자 한다.
1강 (4/18)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과학기술 비판
루카치와 마르쿠제의 기술합리성 비판과 도구화/물화이론
2강 (4/25) 과학기술학의 구성주의 패러다임 비판
사회구성주의와 공진화론부터 행위자-연결망이론의 급진적 구성주의(조립주의)까지
3강 (5/2) 기술레짐과 테크노시스템, 세계객체로서 AI
앤드류 핀버그의 비판적 구성주의 기술철학
4강 (5/9) 사회기술적 상상과 기술권력복합체
과학기술 및 AI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비판: 재서노프, 멈포드, 알렉산더
5강 (5/16) 사회적인 것의 자동화와 지능정보화
안드레예비치의 알고리즘 규율권력과 테라노바의 테크노 소셜미디어 이론 등 푸코디안 비판
6강 (5/23) 알고리즘 식민화, 커뮤니케이션 생성 및 조절매체권력으로서 AI기술
에스포지토, 하버마스, 크리스티안 푹스, 핀버그의 기술(체계) 비판에서 사회(체계) 비판으로
강사 김현준
일시 2024년 4월 18일부터 6주간 목요일 7시(총 6강)
장소 서교연 강당(15명) 및 온라인(줌 링크 주소 제공)
회비 12만원 / 입금계좌 카카오뱅크 33 33 298 33 43 41 배경진
* 강의 시작 후 회비 환불이 어렵습니다.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프로그램 회비는 연구자들의 재생산과 연구실 유지에 사용됩니다. 함께 공부하는 분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문의 hyunjun79@daum.net O1O-2634-칠일팔삼
'Lectures, Teaching & Present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상학적 지식사회학 개관 (0) | 2024.04.25 |
---|---|
[문화/과학XSeMA 공동포럼] AI는 생성하는가 (1) | 2023.07.13 |
[서교연 포럼] 사회적 재난재해・고통・외상의 문화적 구성: ‘문화적 외상’의 정치학과 재현 폭력 비판 (1) | 2023.07.13 |
과학이란 무엇인가 (1) | 2023.06.02 |
부르디외의 계급사회학 (0) | 2023.06.02 |
댓글